미래 성장 산업 로봇 산업
![](https://blog.kakaocdn.net/dn/7dhx5/btrItlam5tR/3UdlJiCrKOZXg6uNK5ctSk/img.jpg)
* 삼성전자 로봇사업 확 키운다. 삼성 봇 양산 추진
![](https://blog.kakaocdn.net/dn/bdv5hq/btrIAD8cXB5/cTxUZ2Id6AhtgxYDRbBQF0/img.jpg)
현대차 미국 로봇회사 보스턴 다이내믹스 인수
테슬라 '테슬라 봇' 공개
-> 로봇산업에 대한 관심이 급증
1986년 세계 최초 이족보행 로봇 E0 등장(일본 혼다)
2000년 휴머노이드 로봇 아시모(ASIMO) 등장
-> 기술력(하드웨이, 통신, 소프트웨어, AI, 배터리) 한계로 상용화가 되지 않음.
2013년 보스턴 다이내믹스
-> 새로운 신성장산업으로 주목받지 못한 로봇산업
최근 AI, 통신, 배터리 기술발전으로 로봇산업의 변곡점과 함께 재주목 받음.
![](https://blog.kakaocdn.net/dn/NDL6p/btrIpGsAPQD/AlsIsp30gr5vYXxzmpgYRK/img.jpg)
빅 테크 기업들이 로봇이 가지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며 산업의 성장을 가시화시키고 있음.
(테슬라 클라우딩 컴퓨터 기술을 이용하여 열효율 개선, 현대차 스스로 자율판단 기능 탑재)
* 서비스로봇 시장 규모 21년(40조)->26년(120조) 연평균 23.3% 고성장 예상
![](https://blog.kakaocdn.net/dn/lrRd5/btrIx0Df4S7/mwHHqJGcCEXDUYmuNKpRm1/img.jpg)
코로나19로 극한의 노동환경에 처한 의료분야, 생산시설 감염 우려로 셧다운을 겪은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산업 등 인간을 대체할 수 있는 생산성이 요구되는 산업들이 전폭적으로 늘어나며 로봇 수요가 증가 예상되고 있기 때문. 특히, 우리나라 경우 1) 저출산, 2) 고령화, 3) 최저임금제 등으로 로봇의 필요성과 활용이 점차 확대되는 중.
* 삼성의 로봇산업 진출로 로봇테마 급부상
![](https://blog.kakaocdn.net/dn/onRsK/btrIxZRSxhi/4oiUCA3LwkiBhS3TwlomQk/img.jpg)
삼성전자의 로봇사업을 확대할 경우 향후 관련 시장 확대에 대한 수혜 예상으로 매수 심리 자극하여 로봇 관련주 주가 상승.
* 로봇회사 인수한 현대차 주가는 왜 이러니?
![](https://blog.kakaocdn.net/dn/xqHvs/btrIwHjSl6a/KtUf1hY8xAk0syYuGwl8c0/img.jpg)
* 주가 급등 로봇기업들의 실적을 살펴보면
![](https://blog.kakaocdn.net/dn/dDGgYY/btrIvnMlj01/mR3nSahJSEjo1nKvKTT5F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wDgno/btrIvTx89AN/9xpfDkW8lXc3a62ZzUiD8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6hXS6/btrIzaZvjdk/4f7v2xWVpsctNwMOPawPV1/img.jpg)
주가 급등 이유가 로봇산업이 수익화 구간에 접어들어서가 아니라 테마주로서 급등한 것으로 판단.
-> 부실기업투자 우려
로봇산업에 대한 정확한 산업분석과 차세대 미래형 로봇 형태는 어떤 형태인가를 살펴봐야 한다.
* 과연 어떤 형태의 로봇이 미래형 로봇에 가장 적합할까?
인간의 생산성을 대체 = 호환성 휴머노이드 인간과 가장 유사한 호환성 때문
도시나 주거형태가 인간의 다리에 맞춰 설계가 되기 때문에 우리 삶에 로봇이 호환되기 위해서는 이족 보행의 인간형 로봇이 적합하다.
* 선진국들의 휴머노이드 연구 강화
일본 2020년까지 로봇시장을 제조분야에서 2배, 서비스 분야에서 20배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세움
![](https://blog.kakaocdn.net/dn/Y9m60/btrIua7yQi5/sxhmX8pOPh8KWg4c1zOfPk/img.jpg)
중국 시진핑 "중국이 최대 로봇시장이 될 것" 선언하며 1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로봇 집중 육성계획을 추가
(로봇혁명은 제3차 산업혁명)
![](https://blog.kakaocdn.net/dn/dZVeLa/btrIuYM8HeI/8JSisjr6Ptdjw4xX2vTVi0/img.jpg)
유럽연합 로봇산업에 21억 유로 '약 3조' 투자
![](https://blog.kakaocdn.net/dn/upNEx/btrIyYEVdGt/n6I7OMHD7tRpKYTkh853Fk/img.jpg)
폭넓은 범용성과 잠재적 시장성에 국가 주도로 투자가 이루어짐.
'경제를 배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캐즘이론 (0) | 2022.08.04 |
---|---|
로봇산업 간단 이해 (0) | 2022.08.03 |
2022년 한국시장 전망 및 배경 (0) | 2022.08.03 |
전기차 회의론 (0) | 2022.08.03 |
반도체 산업의 미래 (0) | 2022.08.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