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정보

설명절 전후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by 로칸 2024. 2. 9.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설명절 전후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설명절 전후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오늘은 설명절 전후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최근 보이스피싱은 택배, 관세청 등 미끼 문자를 대량으로 보내서 악성 앱이 설치되도록 하는 수법(스미싱)을 주로 사용 합니다.

 

이 때 악성 앱이 깔리면 폰에 저장된 개인 정보들이 모두 범인들에게 노출됩니다.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확인 방법

설명절 전후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1) 번호 보고 의심하기(국제번호, 국외발신)

관세청 및 세관은 국제번호를 이용하지 않으며 세관 번호는 소재지의 지역번호로 시작하므로, 관세청 홈페이지 확인(관세청 소개→ 조직 및 직원 안내)

 

(2) 체납사실이 없는데 관세체납 안내를 받았다면 먼저 의심하기

 

(3) 문자의 진위여부가 궁금하다면 관세청에 문의하기

 

지역번호 없이 125(관세청) 카카오톡 -> 관세청 고객지원센터 -> 채팅 문의

 

미납 관세 확인 방법

(1) 인터넷 지로에서 확인하기

설명절 전후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인터넷 지로 홈페이지 접속 -> 관세(통고처분) -> 정보 입력 후 조회

 

(2) 관세청에서 확인하기

설명절 전후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 주의!

 

관세청 유니패스 접속 -> 전자납부 탭 클릭 -> 정보입력 후 조회


지금까지 설명절 전후 관세청 사칭 보이스피싱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추석 앞두고 '스미싱(문자메세지+피싱) 사기' 피해 급증, 피해 보지 않으려면

스미싱 피해 급증 추석 연휴를 앞두고 스미싱 사기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스미싱 이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악성 앱 주소가 깔린 문자메시지를 전송하여 금융정보와 개인

chd0803.tistory.com

 

보이스피싱 당했을때 대처법 5가지 알아보자

보이스피싱은 영화화가 된 만큼 많은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고 현재도 피해를 보고 있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사람들은 보이스피싱에 당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지만 막상 보이스피해를 당하게

chd0803.tistory.com

 

4050세대가 당하기 쉬운 보이스피싱 사례별 대처법 (대출사기형, 기관사치형, 납치형)

보이스피싱이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되면서 피해를 보는 사람들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산이 많은 4050 세대를 타깃으로 사기 수법들이 악랄해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보이스피싱

chd0803.tistory.com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