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시각(3일) 미국증시는 다우지수가 2.1% 하락 나스닥 지수 3.2% S&P 500 지수가 2.3% 하락하면서 5800포인트 선 부근까지 물러난 채 거래를 마쳤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변수와 엔비디아의 급락, 그리고 많이 올랐던 섹터에 대한 차익 실현 움직임이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리스크 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오늘은 2월 ISM 제조업 PMI 하락, 트럼프 관세강행 발표에 3대지수 급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2월 미국 ISM 제조업 PMI 지수 하락
현지시각(3일) 2월 미국 ISM 제조업지수 하락과 트럼프 관세강행 발표에 미국 3대지수가 급락했습니다.
2월 ISM 제조업 PMI가 전월 대비 하락을 했습니다. 또 예상치도 밑돌았습니다.
1. 제조업 경기 확장 지속
- 2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3%로 MoM -0.6% 하락하며 2개월 연속 확장세 유지.
- 2020년 4월 이후 58개월 연속 경제 확장 기록.
- 제조업 PMI가 42.3% 이상이면 경제 확장을 의미하며, 50%를 넘으면 제조업 부문 성장세를 나타냄.
2. 신규 주문 및 생산 동향
- 신규 주문 지수는 48.6%로 MoM -6.5% 하락하며 다시 위축 국면 전환.
- 생산 지수는 50.7%로 MoM -1.8% 하락하며 성장세 둔화.
- 수출 주문 지수는 51.4%로 MoM -1.0% 하락하며 성장세 둔화.
3. 고용과 공급망 동향
- 고용 지수는 47.6%로 MoM -2.7% 하락하며 다시 위축 국면 전환.
- 공급업체 납품 지수는 54.5%로 MoM +3.6% 상승하며 납품 속도 둔화.
- 원자재 재고 지수는 49.9%로 MoM +4.0% 상승하며 수급 안정세 보임.
- 고객 재고 지수는 45.3%로 MoM -1.4% 하락하며 낮은 수준 유지.
4. 가격 및 수입 증가
- 가격 지수는 62.4%로 MoM +7.5% 상승하며 원자재 가격 급등.
- 원자재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은 예상되는 관세 영향과 원자재 공급 부족.
- 수입 지수는 52.6%로 MoM +1.5% 상승하며 2개월 연속 확장세 기록.
5. 업종별 성장 및 위축 현황
- 성장한 업종: 석유 및 석탄 제품, 식품·음료·담배, 화학 제품, 운송 장비 등 10개 업종.
- 위축된 업종: 가구 및 관련 제품, 섬유, 비금속 광물, 전자제품, 기계 등 5개 업종.
6. 제조업 전망 및 영향
- 미국 제조업은 26개월 연속 위축에서 벗어나 2개월 연속 확장세 보였으나, 신규 주문 감소와 고용 위축이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 있음.
- 관세 도입 영향으로 가격 급등하며 수주 및 공급망에 영향 미침.
- 기업들은 향후 관세 정책에 따른 비용 증가와 경기 둔화 가능성을 고려하며 신중한 생산 및 인력 운영 전략 채택.
- 미국 제조업 성장세 지속 여부는 향후 정책 변화와 글로벌 경제 환경에 따라 결정될 전망.
트럼프 관세강행 발표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부과 예정대로 시행하고, 4월 2일에는 상호 관세 및 농산물 수입품에도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발언을 했습니다.
이 발언은 장중에 3대 지수의 낙폭을 결정적으로 벌리게 했습니다.
필수 소비재 그리고 일부 헬스 계열을 제외하고는 전 업종이 하락하였습니다.
그 가운데에서도 급락을 주도했던 것은 기술주의 급락이었습니다.
엔비디아 8.8%의 급락, 브로드컵 6.1% 하락 엔비디아의 고객사인 델 역시도 급락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아마존의 경우에는 3.4% 하락하였습니다. 대중 추가 관세 부과로 인해서 소비가 둔화될 것이라는 우려감을 받아갔습니다.
그리고 관세 전쟁에 직격탄을 받은 GM과 포드 등 역시도 트럼프의 발언 이후에 장중 저점을 경신했습니다.
지금까지 2월 ISM 제조업 PMI 하락, 트럼프 관세강행 발표에 3대지수 급락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경제를 배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3월 FOMC 발표 및 금리전망 (0) | 2025.03.20 |
---|---|
대체거래소 넥스트트레이드의 모든 것(종목, 거래시간, 수수료, 이용방법) (1) | 2025.03.08 |
이수페타시스 유상증자 일정과 주가전망 (0) | 2025.03.04 |
LNG 모멘텀 부각 트럼프 수혜주 '동성화인텍' (0) | 2025.01.22 |
24년 2분기 어닝서프라이즈 종목 (0) | 2024.08.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