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밤 25년 3월 FOMC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
예상되로 기준금리는 동결로 유지가 됐습니다.
중요한 것은 앞으로의 경제 전망을 어떻게 수정하느냐 그리고 점도표가 어떻게 나와주느냐 2가지였습니다.
오늘은 25년 3월 FOMC 발표 및 금리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증시 시황 정리
뉴욕증시가 현지 시간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미국증시는 컨센서스에 부합하는 FOMC 결과와 파월풋 영향으로 상승마감했습니다.
- 다우 : +0.92%
- S&P500 : +1.08%
- 나스닥 : +1.41%
- 필라델피아 반도체 : +0.99%
- WTI 국제유가 : 67.16달러(+0.39%)
- 미 달러 인덱스 : 103.45(+0.18%)
- 미 2년물 국채금리 : 3.9723% (-6.8bp)
- 미 10년물 국채금리 : 4.2428% (-4.0bp)
- MSCI 한국 지수 ETF : +0.47%
- MSCI 신흥국 지수 ETF : +0.24%
- 원/달러 환율 : 역외 1458.89원
전 업종과 산업이 강세를 보였던 가운데 시장 조정에서 선방한 대형제약이나 경기 방어 섹터 등을 제외한 나머지 주요 업종 및 산업이 고루 상승했습니다.
25년 3월 FOMC 회의
지난밤 (현지시간 19일) 연준은 예상대로 금리를 동결하였습니다.
<25년 3월 FOMC 핵심 요약 >
(1) 미 연준은 3월 정책금리를 4.25~4.50%로 동결 결정. 양적긴축 QT 속도는 4월부터 미국채 월간 한도를 250억 달러에서 50억 달러로 축소하기로 결정. MBS QT 한도는 유지.
(2) 수정 경제 전망을 통해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 조정(1.7%), 물가 전망치는 상향 조정(2.7%)했으며, 점도표를 통한 금리 정책 가이던스는 기존의 연내 2회 인하 기조를 유지. 관세로 인한 인플레 상승 압력은 일시적일수도 있다고 코멘트하는 등 관세정책에 대해 당분간 기다리며 지켜보겠다는 입장으로 해석됨.
(3) 관세 정책으로 인한 경기 방향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 연준은 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인한 영향을 2분기 말까지 점검한 이후 신중하게 대응할 것으로 판단. 기존 6, 9월 연내 2회 인하 전망 유지.
(4) 3월 FOMC는 QT 규모를 축소했다는 점과 성장 불확실성 요인이 증대했다는 언급 등으로 비둘기적으로 해석됨. 하반기 QT 중단에 대한 기대가 높아진만큼 미국채 금리의 점진적 하방 압력이 예상되나 트럼프 관세 정책으로 인한 기대인플레와 물가 경계감이 상존하는만큼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4.1~4.4%의 박스권 등락을 예상. 물가 상방 압력 제한되는 점을 확인한다면 2분기 중 4% 하회도 가능
FOMC 성명서에서 바뀐 점

"Uncertainty around the economic outlook has increased."
FOMC는 성명서에서 '불확실성 증가'라는 문구가 처음으로 등장했습니다.
고용/물가 변수에 따라 금리인상을 시사한 것입니다.
3월 금리 점도표 ‘올해 2번 인하’

연준 위원들이 새로 제시한 점도표에서 올해 금리 인하를 중앙값 기준 2차례 금리 인하를 전망했습니다.
파월 기자회견 주요 Q&A
Q. 인플레 전망 상향의 관세 영향 여부? 점도표가 유지됐다는 것은 관세의 인플레 영향이 일시적일 것임을 시사하는 것인지?
A. 관세의 정확한 기여도를 파악하기는 어렵지만, 분명한 것은 관세 영향이 있다는 것. 중장기 기대인플레를 포함해 관세의 인플레 영향이 일시적인지 여부를 판단해갈 것. 관세 영향이 일시적일 것이라는 게 베이스 시나리오지만,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일단은 점도표를 현 수준을 유지하기로 결정
Q. 기대인플레가 잘 고정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대한 자신감 변화 여부? 심리지표가 선행지수로서 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는 것에 대한 견해?
A. 단기 기대인플레는 불안정하지만, 중장기 기대인플레는 잘 고정된 편. 하드데이터는 여전히 견고. 실업률은 낮은 수준, 인플레 진전이 조금 지연되고 있음. 서베이 데이터는 하드데이터 대비 다운사이드 리스크에 민감. 하드데이터의 둔화 여부에 더 주목할 것
Q. 인플레 전망 상향에도 점도표가 유지된 이유?
A. GDP 전망 하향 및 실업률 상향이 인플레 전망 상향으로 상쇄된 면이 있음. 또한 불확실성이 높고 하드데이터는 견고한 상황에서 시간을 갖고 지켜보는 것의 비용이 크지 않다고 판단
Q. 실업률은 낮지만 고용률은 유지되고 있음. 이에 대한 견해? 신행정부 정책의 고용&인플레 영향?
A. 고용률과 해고율이 모두 낮음. 사람들이 구직을 하는 데 더 오래 걸린다는 것을 의미. 해고율이 낮아질 경우 실업률이 높아질 우려가 있으나, 지난 6개월동안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음. 전반적으로 고용시장은 균형잡혀 있다고 판단. 정부 해고는 전국 단위로 봤을 때 영향이 크지는 않음(not significant). 지난 2개월간 상품 인플레 반등이 확인. 이 영향이 지속적인지 단기적인지 판단하기 어려움. 아직까지 정책의 영향이 지표에 반영되지는 않았다고 생각
Q. 리세션 가능성이 높아졌는가?
A. 리세션의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해왔음. 우리는 리세션 관련 전망을 하지 않음. 외부 전망을 참고해보면, 리세션 전망이 많아지긴 했으나 높은 수준은 아님
Q. 기대인플레에 대한 견해?
A. 미시간대 기대인플레 상승은 다소 outlier라고 생각
Q. 재정정책의 순 영향을 판단하고 선제적으로 통화정책에 대응할 수 있는가?
A. 우리 경제전망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 하드데이터는 견고하고, 소프트데이터(심리지표)는 불안정하지만, 불확실성 완화될 때까지 기다릴 것.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되는 시점이 올 것이라고 생각
Q. 1~3월 동안 인플레 지표에서 신호와 잡음 구별이 가능했는지?
A. 상품 인플레 상승은 관세 영향이 일부 있었다고 판단. 관세의 인플레 기여도를 정확히 판단하기는 어렵겠지만 판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 서비스 인플레는 관세 영향에서 다소 벗어나 있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안정되고 있음
Q. 인플레 전망 상향에도 2회 인하를 유지한 이유?
A. 경제와 인플레 전망에 변화는 있지만, 큰 변화는 아님. GDP 전망 하향과 인플레 전망 상향이 서로 상쇄되어 점도표 유지 결정에 기여
Q. 관세의 인플레 영향의 의미? 관세가 실제 부과되면서 인플레에 기여할 것을 말하는 것인지? 부채한도와 QT 속도조절의 관계?
A. 모든 위원들이 관세가 코어 인플레에 영향을 준다는 것에는 동의. 관세의 인플레 영향을 계속 파악해갈 것. QT 속도는 slower for longer로 조절. 우리는 준비금이 풍부(abundant) 하다고 생각. 하지만 QT 속도 조절은 통화정책에 대한 어떠한 시그널도 아님. 준비금이 적정(ample) 수준까지 감소하면 QT를 종료하겠지만 아직 적정수준에서 멀었다고 생각
Q. 기대인플레는 잘 고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는지?
A. 중장기 기대인플레는 잘 고정되어 있다고 생각. 중장기 기대인플레 움직임에 계속 주목할 것
Q. MBS QT 테이퍼링 가능성?
A. 어느 시점에는 QT를 중단하겠지만, MBS 축소는 지속되길 바람. QT 중단되더라도 MBS 축소는 지속돼야 한다고 생각
Q. 5월 인하 가능성?
A. 우리는 서두르지 않을 것. 불확실성 완화를 기다릴 수 있는 시점이라고 생각
Q. 성명서에서 대체로 균형잡힌(roughly in balance) 문구 삭제? 주식시장 변동성의 경제 영향을 우려하는지?
A. 성명문 변화는 큰 의미 없음. 금융환경은 중요하지만,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칠 만큼 변화가 “지속적인지”가 중요. 서베이 지표는 다운사이드 리스크를 높게 반영하고 있으나, 우리는 하드데이터에 주목하고 싶음
Q. QT 속도조절이 부채한도 협상 앞두고 내려진 일시적인 결정인지?
A. 중단과 속도조절 중에선 속도조절을 선호하는 의견이 많았음. Slower for longer이 대체로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했음.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준비금 수준까지 완만한 속도로 다가가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
향후 금리 전망

지금까지 25년 3월 FOMC 발표 및 금리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2024년 3월 FOMC 결과 및 금리전망 - 미 연준 기준금리 5회 연속 동결
증시 향방을 가리게 될 3월 FOMC 회의 결과가 공개됐습니다. 증시는 물론 금과 암호화폐 시장까지 모두 급등하면서 시장이 기대하던 랠리가 나타났습니다. 오늘은 2024년 3월 FOMC 결과 및 금리전망
chd0803.tistory.com
5월 FOMC 핵심 내용 - 연준 금리 동결, 6월부터 QT 속도 조절
5월 FOMC 회의에서 연준은 시장에서 예상을 하고 있던 대로 금리는 기존의 수준을 유지하고 미 국채에 대한 월 상환 한도를 기존의 600억 달러에서 이제는 250억 달러로 줄이겠다고 얘기를 했습니
chd0803.tistory.com
'경제를 배우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3.6조원 유상증자와 주가전망 (0) | 2025.03.21 |
---|---|
[속보] 25년 3월 1~20일 수출 4.5% 증가 (반도체 +11.6%, 승용차 +3.7%, 선박 +80.3%) (0) | 2025.03.21 |
대체거래소 넥스트트레이드의 모든 것(종목, 거래시간, 수수료, 이용방법) (1) | 2025.03.08 |
(25.3.04) 2월 ISM 제조업 PMI 하락과 트럼프 관세강행 발표에 3대지수 급락 (1) | 2025.03.04 |
이수페타시스 유상증자 일정과 주가전망 (0) | 2025.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