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배우자.

미국 임시예산안 통과로 셧다운 위기 해소, 투자방향은?

by 로칸 2023. 10. 2.

주말동안 증시에 좋은 소식 하나가 나왔다.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 마감 시한 3시간을 남기고 미국 상ㆍ하원이 45일짜리 임시 예산안을 통과시켰다.

임시예산안 의 처리로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는 일단 45일 뒤로 미뤄졌다.

그래서 당분간 증시에 안도감을 줄 수가 있게 됐다.

미국 임시예산안 통과로 셧다운 위기 해소(45일간)

케빈 매카시 하원의장이 새롭게 제안한 임시 예산안이 하원 본회의에서 민주당 의원들의 지지에 힘입어 찬성 335표 · 반대 91표로 가결됐다.

민주당 의원의 약 99%인 209명과 공화당 의원의 57%인 126명이 찬성표를 던졌다.

이어 상원에서도 임시 예산안은 찬성 88표, 반대 9표로 가결됐다.

셧 다운 약 3시간을 앞두고 극적으로 의회의 문턱을 넘었다.

임시 예산안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공화당 반대가 많은 우크라이나 지원 예산은 반영하지 않음

(2) 바이든 대통령이 요구한 재난 지원 예산 160억 달러(약 22조원) 증액은 전면 수용

(3) 공화당 강경파들이 요구해 온 예산 대폭 삭감안이 반영되지 않음

(4) 공화당의 강경한 이민 정책 관련 요구는 반영되지 않음

임시 예산안 통과로 11월 17일까지 미국 정부는 지금까지와 같은 수준으로 지출을 할 수 있지만 그때까지 완전한 예산안에 대한 합의가 이뤄지지 못하면 미국은 또다시 정부 폐쇄의 잠재적 위험에 처할 수 있다.

미국 셧다운 영향

미국 셧다운이 발생하면 셧다운 기간 동안 일시적 실업이 늘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면서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1) 국방과 교통, 치안 등 필수 업무를 담당하는 일부 공무원과 현직 군인은 무급으로 일을 계속하지만, 나머지 공무원은 무급 휴직에 들어간다.(노동자 80만명 강제 무급휴가)

(2) 셧다운이 장기화할 경우 직원들의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업무가 지연되거나 축소될 가능성도 있다.

(3) 연방정부가 제공하는 재화와 용역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7%를 차지하는 요소"라며 셧다운이 직접적인 국내총생산(GDP)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 트럼프 행정부 시절 34일간의 셧다운으로 인해 미국 경제가 110억달러(약 14조9000억원) 규모 손실을 봤다.

(5) 신용등급 강등 우려

과거 셧다운 발생과 주가흐름

1) 1995년 12월 15일 ~ 1996년 1월 6일(21일간)

2) 2018년 12월 21일 ~ 2019년 1월 23일(34일) - 최장기

1976년부터 지금까지 7번의 미 정부의 셧다운을 겪었다.

7번의 미국 정부 셧다운은 주가 하락을 항상 동반했다.

미국 S&P500의 지수는 평균 10.2% 하락했고 2018년의 경우 가장 심한 하락을 나타냈다.

이때 무려 19.8%나 하락하였다.

이 당시 한국지수는 30%하락했다.

실제 셧다운이 실행된 기간 동안에는 S&P 500 하락의 중간값이 2%였다고 한다.

결론적으로 이번 역시도 셧다운이 작동된다면 불가피하게 주가하가을 동반할 가능성이 크다.

향후 미국 셧다운과 주식투자 방향

(1) 미국 셧다운 시나리오

셧다운 예상 (국채금리 하락 = 국채 가격 상승, 증시 하락)

-> 셧다운 임시예산안(45일)이 통과

-> 11월 중순까지 증시 상승 예상(국채금리 상승 = 국채 가격 하락)

-> 11월 중순 셧다운 충격, 미국(QQQ)과 한국(EWY) 잠시 하락 후 재상승

(2) 주식투자 방향

11월 중순 임시예산안 만료시점과 셧다운 될 경우 국채금리 큰 폭 하락 예상 (국채 큰 폭 상승), 증시 큰 폭 하락이 예상된다.

주식을 전량 매도 후 하락관측 후 저평가 구간내 매수진입으로 대응한다.

  • 셧다운 현실화(매수) = TQQQ, KORU, TMF
  •  셧다운 타결 = TMF 매도 = TMV 매수 = TQQQ, KORU 보유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