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배우자.

중국 리스크 알고 투자하자. (디플레이션 위기, 부동산 리스크)

by 로칸 2023. 8. 23.

중국의 7월 경제 지표들이 모두 컨센서스를 하회하여 디플레이션 우려가 전망되고 있다. 또한 부동산 개발업체들의 디폴트 위기가 부각되면서 중국발 리먼사태 우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투자에 앞서 중국 경제의 현 상황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

(1) 중국 디플레이션 위기와 경기 침체

중국 경제는 CPI와 PPI 동반 하락으로 인해 디플레이션 우려가 확산

중국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2021년 2월 이후 2년 5개월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고 수출, 제조, 고용 등 경제 전반에서 악화 현상이 뚜렷해 짐(제로코로나 정책 폐지 이후에도 소비 심리가 살아나지 않음 - 경기 침체 국면)

중국의 7월 수출은 전년 대비 14.5% 감소, 월별 수출 증가율로는 2020년 2월 이후 3년 5개월만에 최저치를 기록

중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은 6.3%로 시장 전망치를 하회 (중국 정부의 5% 안팎 성장 목표)

장기 디플레이션 -> 가계 소비 감소 -> 경기 침체 

중국 디플레이션 이란 수요 감소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임.

(가격 하락 - 기술 발전에 의한 공급 증가로 가격 하락, 수요 감소에 의한 가격 하락) 

(2) 중국발 리먼브라더스(부동산 리스크)

최근 중국 부동산 리스크를 두고 중국 내 금융시스템 마비와 글로벌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중국발 리먼브러더스 사태를 우려 (중국 부동산 기업 도미노 부실 우려, 위안화 약세 -> 신흥시장 약세 -> 원화 약세 -> 달러 강세)

헝다 - 자금난으로 미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

비구이위안 - 채권이자 미지급

중룽국제신탁 - 만기 상품 상환 연기로 투자자 시위

다렌완다그룹 - 자금난으로 계열사 매각 추진

리먼 브라더스 사태 : 리먼 브라더스는 150년 전통의 은행이었지만 지나친 차입금에 주택 가격이 떨어지는 것까지 함께 맞으면서 2008년 9월 15일 파산 보호 신청을 내놨다. 그 결과 전 세계 부동산 시장에 도미노처럼 여파가 미쳐 금융위기를 초래한 사건이다.

(3) 중국 정부의 대응

중국 인민은행 단기 정책금리를 0.15%로 인하 -> 유동성 공급

부동산 개발업체에 자금 지원 확대 발표

강력한 부동산 규제를 멈추고 성장을 촉진하겠다고 발표

중국 정부는 중국 경제의 디플레이션과 부동산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여러 부양책을 내놓고 있지만 효과는 크지 않다. 적극적인 추가 부양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2009년 중국 디플레이션 발생 -> 4조 위안 돈풀기 -> 중국 지방정부 부채 37조 위안 

2015년 증시 붕괴 -> 부양책, 주시투자 장려 -> 2016년 증시 붕괴, 지지율 하락

8월 증시가 약한 이유 (대내외 악재 정리)

 

8월 증시가 약한 이유 (대내외 악재 정리)

최근 우리 시장 뿐만 아니라 전 세계 글로벌 증시 시장의 분위기를 보면 지수는 약한 흐름인데 지수 안에 있는 테마주들의 화려한 불꽃 장세는 펼쳐지고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까? 짧

chd0803.tistory.com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