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배우자.

공매도란? (공매도 종류, 순기능, 역기능)

by 로칸 2024. 4. 20.

공매도에 대해서는 찬반논란이 많습니다.

 

지난 5일 공매도 전면금지가 발표되자 많은 투자자들간에 찬반논란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공매도란? (공매도 종류, 순기능, 역기능)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오늘은 공매도의 종류와 순기능, 역기능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내용 확인하고 공매도 전면금지에 대해서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공매도란?

공매도란 특정 종목의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해당 주식을 빌려서 매도 한 뒤 주가가 하락하면 싼 값에 되사서 빌린 주식을 되갚아 차익을 남기는 매매 방식입니다.

 

기관들이 이런 제도적 허점을 이용해 불법 공매도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가 하락의 원인이 됩니다.

 

특히 공매도의 경우 주가가 하락해야 수익이 나는 만큼 의도적으로 악재를 만들어내거나 부정적인 분석 보고서를 작성해 시세를 조작하려 하는 등 부작용이 적지 않습니다.

 

해외IB 불법 공매도 바로가기

 

공매도 방법

S 전자 주식이 오늘 50,000원입니다.

 

기관투자자인 K 증권사가 여러 정보를 종합하여 분석한 결과, S 전자의 주가가 한달 뒤에 45,000원으로 하락한다고 예상하였습니다.

 

하지만 K 증권사는 S 전자의 주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 때 K 증권사가 돈을 벌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공매도입니다.

 

K 증권사는 다른 투자자(A)로부터 S 전자의 주식 1주를 빌립니다.

 

그리고 빌린 주식을 1월 1일 시장에 50,000원에 매도합니다. 공매도를 합니다.

 

그리고 1월 31일 K 증권사는 45,000원으로 주가가 떨어진 S 전자의 주식을 매수하고, 빌렸던 주식을 소정의 수수료 500원과 함께 기존 투자자(A)에게 돌려주는 것입니다.

 

K 증권사는 가지고 있지 않던 S 전자의 주식을 빌리고 매도를 하여 벌어드린 차액은 50,000원 - 45,000원 - 500원(수수료)으로 4,500원의 이득을 챙기게 되었습니다.

 

공매도는 주가의 하락이 예상될 때 아주 좋은 거래방식입니다.

 

공매도의 종류

공매도는 차입 공매도와 무차입 공매도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차입 공매도

차입 공매도는 남에게 주식을 빌려 차입하여 주식을 파는 것을 말합니다.

 

(2) 무차입 공매도

공매도란? (공매도 종류, 순기능, 역기능)
무차입 공매도

 

무차입 공매도는 주식을 남한테 빌리지도 않았는데 미리 주식을 판다고 주문 내놓고 그다음에 어떻게 해서든지 자기가 판 주식을 다른 사람에게 사건 어떻게 하건 다시 그걸 채워 넣는 걸 말합니다.

 

해외IB 불법 공매도 바로가기

 

우리나라는 무차입 공매도는 허용을 안 하고 차입 공매도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무차입 공매도는 판 주식을 다시 못 채워넣을 때 주식 시장에 큰 교란 요인이 되기 때문에 굉장히 엄격하게 통제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말하는 공매도는 다른 사람에게 주식을 빌려서 미리 파는 차입 공매도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공매도의 가장 큰 특징은 주식을 빌린 후 나중에 빌린 주식을 현금이 아닌 주식으로 되갚아야 합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전략으로 주가가 예상대로 하락하면 이익을 얻고 예상과 반대로 주가가 상승하면 손해를 보게 됩니다.

 

공매도의 순기능

공매도의 순기능은 시장의 효율성 향상, 유동성 공급, 주가 버블 방지 3가지 긍정적 요인이 있습니다.

 

특정 주식 주가가 너무 과도하게 높다고 판단할 경우 공매도를 통해 적당한 가격으로 조정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여 주식 거래를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가 버블을 막아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공매도의 역기능

공매도의 역기능은 주가조작, 시장불안요인증대, 기업에 부정적 인식을 야기하는 3가지 부정적 요인이 있습니다.

 

공매도가 증가하면 시장 참여자들은 불안을 야기하여 시장 변동성 증대로 이뤄질수 있고 공매도가 급증하는 기업에 부정적 인식을 야기하여 더 큰 주가 하락으로 나타납니다.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 기준 전날 종가 대비 당일 주가가 5%이상 하락하고 당일 거래되는 공매도 비율이 20%이상 일때 입니다.

 

공매도로 인해 주가하락이 클 것이라고 우려될 때 다음 거래일에 공매도가 금지됩니다. 


지금까지 공매도의 종류와 순기능역기능 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