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익한정보

공무원이 외면받는 이유와 미래 전망

by 로칸 2024. 1. 20.

국가직 공무원이 인기가 좋을때 경쟁률이 78.1이었지만 2022년 9급 공무원의 경쟁률은 29.1이었습니다.

 

9급 공무원 1호봉의 월급이 200만 원이 안됩니다. 

공무원이 외면받는 이유와 미래 전망
클릭하면 확대됩니다.

 

오늘은 국가공무원 인기가 시든 이유와 미래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급격히 시든 공무원 인기

 

요즘 공무원 경쟁률이 심상치가 않습니다. 

 

매년 공무원의 인기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일본과 유사한 공무원 기피 현상>

일본의 최고 엘리트코스는 도쿄대, 와세다대 와 같은 명문대를 나와서 고위 공무원이 되는 것입니다.

 

(일본의 재무성)  하지만 최근 이 최고의 엘리트 코스가 사라져 가고 있습니다. 

 

작년 일본 행정고시에 합격한 사람 중에서 도쿄대 출신들이 급감했습니다.

 

뒤바뀐 희망 직업 순위

 

청소년, 청년들을 대상으로 원하는 직업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2006년부터 코로나19 직전까지 부동의 1위 직업이 공무원이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조사했던 2021년도 대학생들이 취업하고 싶은 곳 1등은 대기업이었습니다.

 

2등이 공기업, 3등이 공무원이었습니다.

 

최근 공무원 인기가 급격히 줄어든 것입니다.

 

공무원 기피 현상의 이유는

공무원의 월급이 상대적으로 덜 올랐습니다.

 

대기업의 경우 물가상승률 이상으로 월급을 보존해 주었지만 공무원의 경우 그란 흐름에서 크게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9급 공무원 1호봉의 월지급액이 200만원이 안됩니다.

 

<2023년 일반직 공무원 봉급 (월지급액, 단위 : 원)>

  • 1급 4,261,100
  • 2급 3,836,000
  • 3급 3,460,900
  • 4급ㆍ6등급 2,966,200
  • 5급ㆍ5등급 2,650,700
  • 6급ㆍ4등급 2,186,800
  • 7급ㆍ3등급 1,962,300
  • 8급ㆍ2등급 1,805,100
  • 9급ㆍ1등급 1,770,800

공무원의 인기가 떨어진 일본 같은 경우는 전총리 스가 요시히데가 한 번에 공무원 급여를 30% 가까이 올렸습니다.

 

사무관급 연봉을 8천만원으로 맞춘것입니다.

 

과거와 달라진 공무원의 업무방식

과거 공무윈들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아젠다들에 대해서 정책적 의견을 내고 자신이 결정한 대로 아마 국가가 운영됐던 것에 대한 자부심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공무원들의 부패등으로 인해 모든 권한이 사라졌습니다.

 

수동적 공무원이 등장했습니다.

 

흔들리는 공직사회

과거의 공무원들은 철밥통으로 정년이 보장되었지만 지금은 정년보장이 되지않습니다.

 

5급 공무원의 경우 내 동기가 장ㆍ차관 상급자가 되면 퇴직자가 됩니다.

 

정년보장이 안되다보니 우수한 인재들이 공직사회에 안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현직 공무원들의 고민들

최근 스스로 사표를 던지고 나오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이유는 공직사회에 있는것이 본인들의 전문성 담보가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지금까지 국가공무원 인기가 시든 이유와 미래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해마다 떡락하는 공무원 시험(공시) 경쟁률 그 원인은?

몇 년 전만 해도 공무원은 선망의 대상이자 경쟁력 있는 배우자감이었다. 때문에 대졸자, 고졸자 할 것 없이 공무원 시험에 뛰어들어 한 때 경쟁률이 천장을 뚫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공무

chd0803.tistory.com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