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최초 존스홉킨스 소아정신과 교수
20년 가까이 수많은 아이와 부모를 만나왔다. 한국에서 육아 강연을 하면 많은 부모들이 질문을 한다. "스마트폰은 몇 시간이나 보여주어야 할까요?" "선행학습을 시킬까요, 말까요?" 그러면 나는 우선 이렇게 묻는다. "기본 원칙을 잘하고 계십니까?" 육아의 기본 원칙은 밥 짓기와 같다. 밥을 지을 때는 쌀이 필요하고 물을 잘 맞춰야 한다. 그다음 불이 안 꺼지게 해줘야 한다. 더 이상 더 필요한 게 있을까? 없다. 여기에다 뭘 더 넣는다고 해서 좋은 밥이 될까? 오히려 밥을 망친다. 필요한 요건만 갖춰주고 뜸 들이듯 기다려주면 쌀이 익으며 고유의 맛을 드러내듯, 아이는 자라면서 자신만의 잠재력을 펼쳐 보인다.
조건 없는 사랑을 전하는 '20초 허그 요법'
부모들은 아이에게 애정표현을 자주 한다. 그런데 잘못된 표현을 하는 부모가 의외로 많다. 사랑한다는 메시지를 전할 때 조건을 다는 것이다. "엄마 말을 잘 들어야 사랑받지." 이 말은 말을 잘 들으면 사랑받겠지만 그걸 안 하면 사랑받기 어렵다는 조건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렇게 키가 작아서 어떡하니? 나중에 취직하고 결혼이나 하겠어?" 체중, 키에 대한 지적을 하는 경우도 많다. 이런 말을 듣고 자라면, 아이는 자신이 외모와 무관하게 존재만으로도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개념이 흔들린다. 조건 없는 사랑과 절대적 존재 가치를 전하는 정말 쉬운 방법이 있다. '20초 허그 요법'이다. 20초 동안 밀착 포옹을 하면서 몸을 편안히 하고, 두 가지 메시지를 전해주는 것이다. 첫 번째는 "사랑한다"는 메시지다. "우리 보석 같은 아들, 정말 사랑해." 조건을 붙이지 말고 어떤 일이 있어도 항상 변함없이 사랑한다고 말해주자. 여기에다 존재 가치도 더해주면 좋다. "지영이가 엄마 딸이어서 너무 감사해." 그다음에는 '인정'의 메시지를 전해준다. 부모들은 아이에게 사랑한다는 말은 꽤 하지만, 아이의 수고가 고맙다는 말은 거의 하지 않는다. "동생이 많이 귀찮게 했는데, 잘 지내줘서 고마워." "등원하기 싫었는데도 잘 다녀와줘서 고마워." 아이의 노력과 수고를 인정하고 고마워해 주는 말, 그것만큼 아이 스스로를 뿌듯하게 해주는 말도 없다. 아침, 저녁으로 20초 허그 요법을 해주면 아이는 자존감이 단단해지고 쉽게 흔들리지 않는 내면의 힘이 생긴다.
한 입 크기의 실패 권장하기
많은 부모가 아이가 넘어지지 않길 바라는 마음에 성인이 될 때까지 애지중지 키우면서 '실패하면 안 된다'는 개념을 지속적으로 심어준다. 그러면 아이는 성인이 되어 한 번의 실수에도 인생이 끝난 것처럼 좌절하게 된다. 미국에서 '스팽스'라는 속옷 회사를 만들어 억만장자가 된 블레이클리라는 여성이 있다. 그녀에게 성공 비결을 물으니 밥상머리 교육을 언급했다. 주말에 가족이 식탁에 모이면 아버지가 항상 이렇게 물었다는 것이다. "이번 주에는 뭘 실패했니?" "자전거로 마트에 가려다가 넘어졌어요." " 피아노로 곡을 연주하려고 했는데 잘 안 됐어요." 그녀가 대답하면 아버지는 이렇게 칭찬했다. "네가 그렇게 도전하고 노력했구나. 잘했다." 실패에 대해 잘했다고 칭찬을 받고 자란 그려는 '원래 자꾸 실패해야 하는 거구나'라는 인식이 생겼고,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할 수 있었다고 한다. '한입 크기의 실패'라는 말이 있다. 실패해도 괜찮은 작은 실패를 의미한다. 아이들은 한입 크기의 실패를 이것저것 많이 먹어보고 꿀꺽꿀꺽 삼키는 연습을 해야 한다. "뭐든지 새로운 것을 배우는 건 쉬운 일이 아니야. 그래서 넘어지면서 배우는 거야." "성공했냐 아니냐 보다 이걸 했다는 게 용감한 거야." 실패해도 괜찮고, 오히려 실패해보라고 하자. 이런 자세를 배운 아이는 넘어져도 주저앉아 버리지 않고 다시 일어날 수 있다.
'OT 요법'으로 아이의 행동 바로잡기
아이한테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가르쳐줄 때 중요한 원칙이 있다. 바로 'OT 요법'이다. 'OT'는 오리엔테이션의 줄임말로, 대학의 신입생이나 회사의 신입사원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적응하도록 돕는 방법이다. 만약 형제끼리 장난감을 갖고 자주 싸운다면, 사전에 규칙을 만들어놓고 OT를 해준다. 규칙을 정할 때는 가족회의를 활용하면 좋다. "지영아, 오빠랑 맨날 장난감 갖고 싸우는데 어떻게 하면 오빠와 함께 잘 가지고 놀 수 있을까?" 그러면 아이들이 서로 자기 생각을 말할 것이다. 아이들 말을 다 들어준 다음 부모가 규칙을 제안하고,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어떻게 할지도 정한다. "돌아가면서 10분씩 가지고 놀기로 하자. 규칙을 어기면 그날 그 장난감은 가지고 놀 수 없어." 장난감을 꺼내서 줄 때는 "어떻게 놀기로 했지?"라고 묻고 아이가 스스로 대답하도록 기다려준다. "저랑 오빠랑 10분씩 가지고 놀기로 했어요!" 아이들이 규칙을 어기면 "아직 좀 어렵지?"하고 약속대로 장난감을 치운다. 그러면 아이들은 '내가 연습해서 규칙을 잘 따라야 즐겁게 놀 수 있다'는 것을 배운다. 자녀가 이미 청소년이라면, '하숙생 요법'을 추천한다. 아이에게 말하고 싶은 것이 있을 때, 만약 아이가 하숙생이라면 어떻게 말할지 생각해 보는 것이다. 아이가 너무 늦게 잔다면 "얼른 자."라고 단속하기보다 아이가 조절하는 능력을 스스로 기를 수 있게 도와준다는 시점으로 접근해야 한다. "학생, 우리 집 사람들이 다 11시면 자는데, 학생 방에서 계속 소음이 난다고들 하네. 어떻게 생각해? 자기 조절의 첫 단계는 자기 인식이다. 아이 스스로 생각하게 해야 그다음에 스스로 조절하려고 노력하게 된다. 육아에서 정말 중요한 것을 알고 그것만 제대로 하면 나머지는 힘을 좀 빼도 아이들은 잘 자란다. 육아의 본질에 충실하자.
'유익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년 11월 이후에 이것 사용하면 과태료 300만원 내야 한다. (0) | 2022.10.20 |
---|---|
'천원짜리 변호사' 천지훈의 슬픈사랑 이청아는 누구? (0) | 2022.10.20 |
'이태원 클라스' 드라마 속 명대사 (동기부여) (0) | 2022.10.16 |
인터넷으로 운전면허 갱신하는 손쉬운 방법 (0) | 2022.10.13 |
해외 항공권 구매 시 반드시 체크해야 할 것 (1)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