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배우자.

중국 시진핑과 미국 바이든이 욕심내는 배터리 양극재 기술

by 로칸 2022. 11. 16.

중국 시진핑 주석과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이 욕심내는 한국 기술은 단연 세계 최고의 기술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미래산업의 먹거리인 배터리 양극재 기술이다. 조 바이든 대통령이 대놓고 욕심이 난다고 얘기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자.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 추진 이유

인플레이션 감축법 사진
인플레이션 감축법

바이든 정부가 추진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은 이상기온과 같은 기후 위기 대응과 에너지 공급망 교란, 전쟁과 탈세계화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새로운 에너지 정책을 수립한 것이다. 또한 에너지 전환 기업유치를 통해 자국 내 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하고, 일자리를 창출을 꾀하는 동시에 기술력과 시장을 선점하려는 대대적인 정책이다.

IRA법안 -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차에 집중

IRA법안이 대부분 신재생에너지와 전기자동차 배터리와 관련된 것을 보면 미국은 기존의 화력발전소와 같은 화석에너지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높여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아울러 자동차 배기가스, 이산화탄소를 줄여 이상기온을 막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또 국제 시민단체가 주도하는 RE100이라는 글로벌 캠페인도 중요한 요인이다. RE100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위해 연간 100기가 와트시 이상의 전기를 사용하는 글로벌 기업이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만을 써서 공장을 가동하고 사무실을 운영할 것을 약속하는 것이다. RE100 공식 지침서에는 재생에너지의 범위를 바이오와 지열, 태양광과 물, 그리고 풍력을 이용해 생산한 전기를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위기시대에 세계의 소비자와 기업들은 화석에너지를 사용하는 기업들과 그들이 생산하는 제품을 선호하지 않고 배척한다. 이러한 세계적인 트렌드를 감안할 때 미국이 추진하는 IRA법안은 기후위기 대응이고 미국 에너지 안보를 위한 움직임이다. IRA 투자액의 84%인 516조원이 태양광과 송배전망 건설에 집중돼 있다. 또 반도체와 전기차 산업의 시작과 끝을 미국 내에서 완결하여 산업생태계를 구축하여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다. 한국의 미래 정책도 이 부분을 간과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RE100을 무시할 때 전 세계 소비자와 기업들이 더 이상 한국 제품을 선호 하디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에너지 정책

삼성전자도 RE100가입을 결정했다. 삼성전자는 국내 전기사용 1위 기업이다. 그런데 한국은 60% 이상의 전기를 석탄과 가스로 만들기 때문에 엄청난 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한국에는 세계 최고의 전기차와 배터리, 태양광 패널과 풍력발전, 그리고 원자력 관련 기술을 가진 기업들이 있다. 따라서 한국도 미국과 같이 국가정책의 일환으로 국가 에너지 정책과 일자리 정책을 세계적인 트렌드에 맞혀서 수립하고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한국의 독보적인 배터리 양극재기술

바이든 정부가 이러한 정책(인플레이션 감축법안)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한국의 배터리 기술은 반드시 필요하다. 미국의 제너럴모터스와 포드, 크라이슬러와 테슬라 등 미국의 완성차 업체들이 한국 배터리 업체와 합작공장을 만들자고 요청하고 있다. 한국이 약 30년 동안 축적해온 배터리 양극재 관련 기술은 독보적으로 앞서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배터리 관련 매출이 세계 1위이지만 중국 자국 내 매출이 높고 실제적인 양극재 관련 기술은 한국에 비해 낮은 기술 수준이다.

Summary

친환경 에너지 정책은 전 세계적으로 대세가 되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안 역시 기후 위기 대응과 미국 내 에너지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정책으로 배터리 양극 재기 술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이 욕심내는 한국 배터리 양극재 기술, 향후 제2의 반도체와 같은 신성장동력 사업으로 발전하여 세계 1위 한국의 산업이 되길 기대해본다.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