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배우자.

중국 온라인 게임 정책 변경, 게임주(크래프트, 넷마블, 위메이드, 데브시스터즈) 급락

by 로칸 2023. 12. 23.

금일(12월 22일) 중국의 인터넷 플랫폼 거대기업인 텐센트홀딩스를 포함한 국내 게임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급락했습니다.

 

중국정부의 온라인 게임 규제 영향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중국 온라인 게임 정책 변경, 게임주(크래프트, 넷마블, 위메이드, 데브시스터즈) 급락

 

오늘은 금일 발표한 중국 정부 신규 게임 규제안과 게임주 급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중국 온라인 게임 정책 변경

 

금일 12월 22일 중국 국가신문출판서가 과도한 온라인 게임 소비와 기업의 보상 정책을 제한하는 <온라인 게임 관리 방안(초안)>을 발표함에 따라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하락 하였습니다.

 

변경된 초안에는 몇 가지 주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온라인 게임 업체들은 매일 등록, 매번 충전, 연속 충전 등의 이벤트를 통한 장려책을 시행할 수 없게 됩니다.

 

2) 가상 도구를 높은 가격에 매매하거나 경매하는 거래행위가 금지됩니다.

 

3) 모든 온라인 게임은 충전한도를 설정하고, 서비스 제공 시 비이성적인 소비행위를 자제해야 합니다.

 

중국 정부는 최근 몇 년간 청소년 게임 중독 방지를 위해 게임 사용 시간과 소비 한도를 제한해왔습니다.

 

이번에도 일일 충전 한도를 설정하고 로그인 보상 정책과 충전 유도 정책을 제한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과도한 게임 이용과 소비를 억제하려는 의도로 보입니다. 하지만, 구체적인 금액이나 이용 시간 한도를 법적으로 규정하지는 않았으며, 향후 정부와 기업 간의 소통을 통해 결정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기업별 정책 업데이트에 따라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번 규제안에서는 게임 개발사들이 서버와 저장 장치를 중국 내에서 관리하고 국가 기밀과 연계된 콘텐츠 공개를 금지하도록 규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데이터 이동에 따른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중국 데이터 이동으로 인한 국가 차원의 데이터 유출 우려가 존재합니다.

 

게임주 급락

 

텐센트와 넷이즈와 같은 중국의 주요 게임 기업들의 주가가 10%~20% 하락하였습니다.

 

이는 신규 정책에 따른 실적 하락뿐만 아니라 규제 강화로 인한 산업 위축을 우려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국내 게임주 영향 및 대응 방법 중국의 게임 시장은 한국 기업들에게 매출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크래프톤(텐센트 향 매출 분기 약 2천억원), 넷마블(4분기 기준 200억대 후반 추정)은 현재 중국 로열티 매출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중국 출시 기대감으로 주가가 상승했던 위메이드(-8%), 데브시스터즈(12/28 예정, -13%)도 주가 하락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규제는 방향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전까지 완화되었던 정책 방향성이 재차 강화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중국 비중이 큰 기업들은 포지션을 낮출 필요가 있습니다.

 

당장의 영업적 손실보다는 추가 규제에 대한 위험 요인 우려가 커지는 구간이기 때문입니다.

 

보수적인 접근을 권고하며, 국내 게임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별 정책 업데이트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며, 글로벌 게임 사업에도 중기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게임주 주가

 

22일 발표된 게임 규제는 2021년 18세 미만 게임시간 제한 규제 이후 최대 규제입니다.

 

중국 정부의 게임주 규제로 인해 국내 게임주들이 모두 급락했습니다.


지금까지 중국 정부 신규 게임 규제안 및 게임주 급락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게임업계 황제주 엔씨소프트 성장공식과 한계

게임업계 황제주 엔씨소프트 엔씨소프트는 연매출 2조 3,088억 원, 영업이익 3,752억 원, 당기순이익 3,957억 원 시가총액이 7조 7천억 원 수준의 코스피 랭킹 TOP 50위권의 기업이다. 1997년 3월 1일 설

chd0803.tistory.com

 

크래프톤 1분기 깜짝 실적, 주도주로 등극?

크래프톤은 1·4분기에 시장 전망치를 웃돈 깜짝 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매출액은 3% 늘었지만 영업이익은 9% 감소했다. PC 게임 수익성 개선과 비용 통제로 1분기 어닝 서프

chd0803.tistory.com

 

크래프톤 급락 배경(인도서비스 재개<<제2의 한한령)

5월 24일 크래프톤의 인도 서비스 재개 소식에도 불구하고 급락마감했다. 급락 이유는 제 2의 한한령 이슈가 불거진데 따른 중국 시장에서의 수익 악화가 우려되었기 때문이다. 제 2의 한한령 부

chd0803.tistory.com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