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배우자.

1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발표 임박 및 금리 전망

by 로칸 2024. 2. 29.

현지 시작 29일 1월 개인소비지출( PCE) 물가지수 결과가 발표됩니다.

 

PCE는 연준이 금리 인하 시기를 결정하는 데 참고하는 주요 지표입니다.

1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발표 임박 및 금리 전망
1월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 발표 임박 및 금리 전망

 

오늘은 그동안 발표됐던 인플레이션 지표들을 정리해 보고 PCE가 어떻게 발표될지와 월가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월 개인소비지출 PCE

 

개인소비지출 PCE는 소비자들이 물건을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지출한 모든 비용을 합친 금액을 뜻합니다.

 

(1) 미국 PCE 상승률(%)

  전월비 전년비
23.09 +0.4% +3.4%
23.10 +÷0.0% +2.9%
23.11 -0.1% +2.6%
23.12 +0.2% +2.6%
24.01(예상) +0.3% +2.4%

 

1월 헤드라인 PCE는 전월보다 0.3%, 연간 2.4%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얼마전까지 PCE 지표는 0.2%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2) 1월 물가지표 (CPI vs PCE)

구분 CPI PCE
발표기관 고용통계국 경제분석국
품목 간접 지출 제외한 지출 건강보험료 등 간접 지출 포함 전체 지출
특징 음식, 자동차, 주택에 치중 실제 물가지수의 기준

 

최근 발표됐던 물가지표들이 시장 기대를 크게 웃돌면서 상향 조정됐습니다.

 

1월 CPI는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3.1% 상승해서 예상치를 웃돌았습니다.

 

1월 PPI도 마찬가지로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 0.9% 올라 전망치를 상회하자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졌습니다.

 

CPI 와 PCE 는 둘 다 물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각각 노동 통계국과 상무부에서 발표한다는 차이가 있고 또 CPI 와 PCE 가중치를 두고 있는 부분도 차이가 있습니다.

 

(3) CPI vs PCE 항목별 비중(%)

구분 CPI PCE
주거비 44.4 33.4
운송 16.7 11.1
음식료 14.4 13.6
의료서비스 8.1 16.1
교육 5.8 5.8
여가  5.4 5.5
의료 2.5 2.5
발표시기 매월 10~14일 마지막주 금요일

 

CPI는 주거비와 렌트비에 대한 비중이 더 높고 PCE는 의료, 서비스의 비중이 CPI에 비해 특히 높습니다.

 

즉 연준은 실시간 가격 반영이 느린 주거비나 렌트비의 비중이 높은 CPI보다는 실시간 소비가 반영되는 의료, 서비스 비용 비중이 더 높은 PCE를 중시하고 있습니다.

 

(4) PCE 항목별 비중(%)

헤드라인 음식료 14.4
  에너지 6.9
코어 주거 렌트카 34.4
  의료 서시스 8.1
  운송 서비스 5.7
  신차 4.3

 

여기에서 연준은 PCE 중에서도 에너지와 음식료를 제외한 근원 PCE 를 기준으로 금리 방향을 결정합니다.

 

이유는 에너지나 음식료는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커지면 에너지 가격이 단기간에 큰 폭으로 오르는 걸 볼 수 있습니다.

 

(5) 미 근원 PCE 상승률(%)

  전년비 전월비
23.09 3.7 0.3
23.10 3.4 0.1
23.11 3.2 0.1
23.12 2.9 0.2
24.01(예상) 2.8 0.4

 

전망은 전월 대비 0.4%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에 0.2% 올랐지만 상승폭이 두 배 이상 확대될 거라는 전망입니다.

 

PCE 물가지수의 월간 상승폭 확대로 3개월 및 6개월 상승률도 연율 기준으로 각각 2.6% 2.4%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로써 연준의 목표치인 2%는 다시 상회할 전망입니다.

 

지난해 12월 에는 근원 PCE 물가지수가 비교적 낮게 나오면서 3개월 6개월 상승률 모두 연준의 목표치인 2%로 떨어지기도 했었습니다.

 

만약 PCE 물가지표가 월가가 예상한 전망치에 부합하게 나온다면 지난해 2월의 0.4% 이후 11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에 해당하게 됩니다.

 

특히나 PCE 물가지수는 연준이 가장 눈여겨보는 지표라는 점에서 CPI 보다 시장에 미친 영향이 클 전망입니다.

 

CME FED 워치 금리 인하 전망

  • 3월 2.5%
  • 5월 17.1%
  • 6월 62.9%
  • 7월 82.8%

 

1월 PCE 물가지수가 발표된 후 시장에서는 이미 한 풀 꺾인 조기금리 인하 기대감이 더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현재 CME 패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이 오는 6월의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63% 정도로 한 달 전에 99.5%에 달했던 것과 비교하면 인하 기대감이 크게 둔화했습니다.

 

유로존 CPI 전년비 상승률(%)

  CPI 근원 CPI
1월 2.8 3.3
2월 2.5 2.9

 

유로존 CPI도 유럽 중앙은행 ECB 물가 전망에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중요도가 큽니다.

 

3월 1일에 발표될 유럽연합의 2월 CPI는 지난달 2.8%에서 2.5% 근원 CPI도 3.3%에서 2.9%로 둔화할 걸로 전망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EU는 가장 빠르게는 4월쯤 금리 인하가 가능할 거라는 금리 선물시장의 확률이 3분의 1 정도 높아졌습니다.

 

대체로는 6월 인하의 대부분의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제 3월 FOMC 전에 나오는 마지막 물가지표 PCE 가격지수 발표만을 앞두고 있습니다.

 

연준이 현 상황을 어떻게 판단할지 기준이 될 중요한 지표인 만큼 현재 시각 29일 발표될 PCE 가격지수 관심 있게 지켜봐야겠습니다.


지금까지 그동안 발표됐던 인플레이션 지표들을 정리해 보고 PCE가 어떻게 발표될지와 월가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미국 24년 1월 소매판매 10개월 내 최대폭 감소

지난 15일 미국 1월 소매판매 데이타가 공개되었습니다. 오늘은 미국 24년 1월 소매판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1월 소매판매 January 2024 $700.3 billion -0.8% December 2023(revised) $706.2 billion +0.4%

chd0803.tistory.com

 

미국 2024년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쇼크 및 국채금리 전망

지난 밤(현지 시각 13일) 미국 증시는 CPI 쇼크와 크게 급락했습니다. 미국의 2년과 10년물 국채금리가 각각 4.65% 4.32%까지 치솟았고 월가의 공포지수 Vix지수가 전장 대비 22% 급증 했습니다. 오늘은

chd0803.tistory.com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지수)가 중요한 이유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지수)는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에서도 중요하게 바라보고있는 지수다. 미국 CPI에 따라 기준금리의 방향이 결정이 되고 이는 한국을 비롯하여 여러 나라의 경제를 좌지우

chd0803.tistory.com

 

미국 12월 PCE 물가지표 발표, 근원 PCE 2%대 진입

지난 26일 PCE 물가가 발표되었습니다. 모든 투자자가 고통스러워 하는 게 바로 높은 금리 입니다. 그런데 금리가 높은 이유는 물가가 너무 높았기 때문입시다. 그래서 우리는 미국의 물가가 오매

chd0803.tistory.com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