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배우자.

OPEC+ 무력화시킨 미국 셰일 혁명

by 로칸 2024. 1. 20.

미국 셰일 업계가 석유 카르텔의 노력을 무력화할 수 있을 만큼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습니다.

OPEC+ 무력화시킨 미국 셰일 혁명
OPEC+ 무력화시킨 미국 셰일 혁명

 

오늘은 OPEC+ 무력화시킨 미국 셰일 혁명과 기술 개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셰일 오일(Shale oil)

 

셰일 오일은 오일 셰일이라 불리는 암석에서 채취한 액체 탄화수소가 생겨 형성되는 곳에일서 나온 케로신을 함유하고 있는 물질입니다.

 

셰일 오일은 전통적인 원유를 대체할 수는 있으나 오일 셰일로부터 셰일 오일을 추출하는 일은 재정적인 면으로 보나 환경에 미치는 영향적으로 보나 원유 생산에 드는 비용보다 더 비쌉니다.

 

미국 셰일 혁명

 

2004년 들어 세계 경제에 호황이 지속되고 거대한 인구가 있는 브릭스 국가의 성장으로 세계는 석유 공급 부족 상황을 겪게 됩니다.

 

2004년 배럴당 20달러였던 유가는 계속 상승하여 2008년에는 100달러를 넘어섭니다.

 

산유국들은 석유를 무기화했고 미국과 유럽 아시아 각국들은 석유를 확보하기 위해 깊은 바닷속이나 북극해까지 들어가 유전 영토를 확장해 나갑니다.

 

특히 미국의 석유기업들은 유가가 상승하면서 비전통 자원에 대해 관심을 돌립니다.

 

비전통 자원이란 부존 상태가 전통적인 석유 가스와 달라 기존의 채굴 방식으로는 생산할 수 없는 에너지를 말합니다.

 

셰일가스, 셰일 오일, 오일샌드 등도 비전통 자원에 해당됩니다. 비전통 자원은 기술적으로 채굴할 수 없거나 생산한다해도 비용이 많이 듭니다.

 

그러나 유가가 치솟자 미국의 석유기업들은 미국에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 세일 자원의 채굴 기술을 집중적으로 개발합니다.

 

마침내 2000년대 중반 미국 석유 기업들은 '수평 시추ㆍ수압 파쇄' 기술을 상업화하는 데 성공합니다.

 

셰일 자원은 진흙으로 되어 있는 셰일층에 갇혀있는 석유와 가스 자원입니다.

 

기존의 석유 가스가 수직으로 시추기를 넣어 압력에 의해 채굴되는 것과는 달리 프래킹 기술은 수평으로 시추한 후 셰일층을 파괴하고 이를 통해 흘러나오는 석유나 가스를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기술이 개발되면서 셰일 자원이 풍부한 미국 여러 지역으로 많은 사람들이 몰려가는 셰일 러시가 일어납니다.

 

미국은 산유국임에도 불구하고, 2005년 기준 미국 소비량의 65%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었습니다.

 

미국은 세계 최대의 석유 수입국으로 세계 교역량의 25%를 차지합니다.

 

셰일 오일의 투자가 늘어나며 단시간에 미국의 석유 생산량이 급증해 2005년에는 하루 700만 배럴의 석유를 생산했고 세계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고 석유의 공급 과잉이 심화되면서 유가는 2014년 하반기부터 하락하기 시작합니다.

 

제 1차 오일 전쟁

2014년 11월 OPEC 총회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유가 방어를 하지 않겠다고 천명하자 유가는 급락하여 배럴당 50달러 아래로 떨어집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OPEC 생산을 감소시켜도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이 크게 늘면 유가 방어가 효과가 없을 거라 생각한 것입니다.

 

그래서 가격 경쟁을 통해 미국 셰일 오일을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것이 더 실효성이 있을 것으로 보았습니다.

 

OPEC의 중동맹주국들의 원유 생산비가 배럴당 15달러 이하인데 반해 셰일 오일의 생산비는 이것에 수배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경제전문기관에서는 유가가 60달러 수준이 되면 미국 신규 셰일 오일의 절반 이상은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따라서 사우디아라비아는 가격이 하락하면 공급량이 감소한다는 공급의 법칙을 믿었습니다.

 

미국 원유 최대생산국 제 1차 오일전쟁으로 유가가 40에서 50달러로 낮아졌지만 미국의 셰일오일 생산은 오히려 더 크게 증가합니다.

 

유가 하락으로 셰일 오일의 시추 유정수는 감소했으나, 미국의 생산업자들은 보다 효율이 높은 셰일 오일 광구에서 더욱 진전된 기술로 생산비를 낮추면서 석유 공급을 늘렸기 때문입니다.

 

즉 가격 하락으로 인한 공급량의 감소 효과보다 기술 발전으로 인한 공급량의 증가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습니다.

 

미국 셰일 업체 기술발전을 통한 생산성 향상

(1) 수평굴착 길이가 길어졌다.

하나의 rig에서 파고 들어가는 수평굴착 길이가 대폭 증가하였습니다.

 

새 rig를 설치할 필요없이 기존 rig를 이용해서 다양한 지층을 공략하여 생산가능해졌습니다. (시간/비용 절약)

 

2010년 전후 4000피트(1.2km)가 한계였으나 2022년말에는 10,000(약 3km)피트 이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수직으로 뚫고 내려가는 rig수를 줄일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좋아집니다.

 

(2) 펌프 기술 개발

석유를 생산할 때 사용되었던 펌프(잭-무겁고 덩치크고 비효율적)을 지상인 아닌 지하쪽에 넣을 수 있게 작고 강한 펌프 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그 결과 더 많은 원유를 뽑아쓸수 있게 되었습니다.

 

(3) 굴착능력 향상 기술 개발 (지질 이해)

미국 셰일 업체들의 3년간 유정 시차 기간이 40%이상 감소하여 더 많은 지역에서 더 빠르게 뽑아낼수 있었습니다.(생산성 향상)

 

2019년 유정개발에 평균 19.5일이 소요되었지만 2023년 말에는 11.5일로 단축되었습니다.

 

그 결과 rig수는 줄어들었지만 오히려 생산성이 증가되는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대규모 증산 예고 기술 발전에 눈을 뜬 석유 메이저 업체들이 앞다투어 셰일에 대한 투자를 증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세계 정유업계 메이저 회사인 엑손모빌이 Pioneer Natural Resources 라는 셰일 전문업체를 645억달러에 인수하였습니다. (셰일 생산성 2배 계획 130만배럴/1일 -> 2027년 200만배럴/1일)

 

미국 셰일업체들 손익분기점을 45달러에서 25~30달러로 하향시켰습니다.

 

셰일업체들의 고민

(1) 인력문제 (용접 장비ㆍ중장비)

Z세대의 화석연료 산업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관련산업을 기피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인력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OPEC+ 대응, 가격인하

지난 2023년 11월 OPEC+는 윈유 감산을 하였음에도 원유가격이 낮아졌습니다.

 

(1) 사우디아라비아

그로 인해 사우디아라비아는 지난 2월 아시아 지역에 공급하는 경질유 가격을 27개월 만에 최저치로 인하하였습니다. (2달러 인하)

 

가격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모습입니다.

 

(2) 앙골라 OPEC 탈퇴

2023년 12월 OPEC의 회원국인 아프리카의 앙고라가 OPEC 탈퇴를 선언하였습니다.

 

탈퇴이유는 OPEC이 앙골라의 이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습니다.

 

<OPEC 탈퇴국>

인도네시아 (2016년) 카타르 (2019년) 에콰도르 (2020년) 앙골라 (2023년)

 

OPEC은 12개국으로 감소했습니다.

 

생산량 2800만 배럴수준으로 감소 (OPEC 시장 점유율 2010년 34%에서 27%수준으로 감소)

 

2024년 원유가격 전망

베네수엘라과 이란의 시장복귀로 인해 원유 가격 추가 하락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OPEC+ 무력화시킨 미국 셰일 혁명과 기술 개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중동 지정학적 리스크 심화와 유가 불안, 후티반군 이스라엘ㆍ하마스 전쟁 이란 의문의 폭발사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좀 더 심화 되고 있습니다. 후티 반군 측에서 이스라엘로 향하는 프랑스 운송 회사 컨테이너선을 공격했다는 소식, 이란이 홍해에 군함을 배치했다는 소식과 이란내

chd0803.tistory.com

 

미국-사우디아라비아 동맹 관계의 모든 것

최근 미국이 80년 전통 우방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를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러시아를 도와 원유감산 결정을 주도했다는 이유입니다. 오늘은 미국과 사우디

chd0803.tistory.com

 

미국이 주도한 셰일가스 혁명, 장단점

2000년 초반만 하더라도 석유가 고갈될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목소리가 심심치 않게 들렸습니다. 당시 전 세계는 석유가 주도하는 화석 연료 시대의 종말에 대비하기 위해 새로운 에너지를 찾

chd0803.tistory.com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