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를 배우자.

2023년 상반기 후판가격이 중요한 이유(조선주 상승랠리 상관성)

by 로칸 2023. 5. 24.

선박 건조에 필요한 후편 가격의 2023년 조선소와 철강업체 간의 협상 진행 소식과 협상 결과가 조선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자.

선박에 사용되는 후판가격 협상

선박에 사용되는 후판은 두께 6밀리미터 이상의 두꺼운 철판으로 한국 조선소는 대부분의 후판을 국내 철강 업체인 포스코 동국제강과 현대제철 등에서 구매를 하여 선박 건조의 사용을 하고 있다. 조선업체와 철강업체는 매년 반기마다 후판 가격 협상을 진행하여 오고 있으며 2023년 상반기 후판 가격 협상은 다소 지연되었지만 포스코홀딩스와 HD현대중공업이 상반기 후판 가격 협상을 마무리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두 회사의 협상 결과에 따른 정확한 후판 가격 결정 정보는 전해지고 있지 않지만 뉴스에 따르면 톤당 90만 원 중반에 합의된 것으로 보도가 되고 있다. 이들 협상을 시작으로 다른 철강 업체 조선소들의 협상도 조만간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조선용 후판 가격 추이

년도 후판가격(톤당)
2020년 상반기 3만원 인하
2020년 하반기(동결) 60만원
2021년 상반기(10만원 인상) 70만원
2021년 하반기(40만원 인상) 110만원
2022년 상반기(10만원 인상) 120만원
2022년 하반기(10만원 인하) 110만원
2023년 상반기 90만원?

최근 몇 년간의 조선용 후판 가격 협상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 상반기 3만 원 내외 인하 2020년 하반기는 동결하여 60만 원대를 유지하였다. 2021년 상반기 10만 원 인상을 반영하여 70만 원대를 형성하였으며, 하반기에는 40만 원 인상을 반영하여 110만 원대의 후판 가격을 형성하였다. 2022년은 상반기 10만 원 인상을 반영하여 120만 원대를 형성하였고 2022년 하반기에는 철강 조선소간 가격 협상이 이루어져 톤당 120만 원에 공급됐던 후판 가격을 하반기에는 10만 원 이하를 반영하여 110만 원대로 다시 내려왔다. 2023년 상반기 후판 가격 협상 결과의 추정값은 90만 원 중반이다.

23년 상반기 후판 가격 결정 배경

23년 상반기 후판 가격을 결정한 배경에는 조선소와 철강업체 간의 양보가 있어 가능한 것이 아닌가 싶다. 후판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철광석 원료탄의 가격, 전기료 등 물가 상승분 등이 있다. 특히 현재 시점의 철광석 가격 수준을 보면 2021년보다는 다소 낮은 수준으로 볼 수 있다. 5월 현재 철광석 가격은 톤당 106달러 원료탄은 톤당 244 달러이며 2021년 12월 초 톤당 108달러 원료탄은 톤당 339달러이다. 2021년 하반기 후판 가격은 톤당 110만 원에 합의를 하였으며, 현재의 후판 가격 결정은 2021년 상반기와 하반기 가격과의 사이 수준으로 결정된 것으로 추정이 된다. 2023년 하반기 후판 가격의 변화는 어떻게 진행될지 철광석과 원료탄의 가격 변화를 살펴보면 예상이 가능할 것이다.

후판가격 변화가 건조 선박과 신조선가에 미치는 영향

(1) 선박 전체 건조 비용에서 차지하는 비용

후판 가격은 선박 전체 건조 비용의 약 20%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후판 가격 인하는 조선소의 영업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할 것으로 예상이 된다. 선박 전체 건조 비용의 20% 수준은 여러 선종의 평균 값이며 각 선종별로 차지하는 비중은 상이한 부분이 있다. 특히 컨테이너와 탱커 선박의 경우는 선박 건조에 소요되는 후판의 물량이 LNG 운반선 대비하여 많은 편이며 LNG 운반선의 경우는 GTT의 카고 화물창 비중이 높기 때문이다.

(2) 조선소 영업이익에 영향

조선소는 수주산업으로 수주할 시점의 선가는 해당 시점의 후판 가격을 기준으로 선가는 결정이 된다. 하지만 실제 선박 건조는 계약 시기보다는 수 개월 뒤 또는 계약 조건에 따라 1년 이상 이후의 선박 건조가 시작된다. 조선소의 해당 연도의 분기별 영업이익을 결정하는 요인은 선박이 실제 건조되는 시점에 후판 가격에 영향을 받게 된다. 예를 들어 2022년 상반기에 건조되었던 선박들은 대부분이 2020년에 수주한 선박들로 이 당시 선박을 수조할 때 반영된 후판 가격은 톤당 60만 원이었으며 선박의 건조가 시작되는 시점 2022년의 후판 가격은 톤당 120만 원으로 100% 인상되었으므로 상당 부분의 손실이 회사 장부에 반영되는 것이다. 그 결과 작년 한국 조선소들의 영업이익은 적자를 면치 못하였다. 2023년 하반기 조선소의 이익 개선을 예상하여 볼 수 있는 것은 23년 하반기 건조에 투입되는 선박은 2021년에 수주한 선박들이며 일부는 계약 조건에 따라 2020년 계약한 선박들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선박 건조에는 2021년 당시 후판 가격 톤당 110만 원 수준으로 계약한 선박들을 현재 시점으로 톤당 90만 원 중반으로 선박 건조에 사용되기 때문에 조선소의 이익은 개설될 것으로 볼 수 있다.

(3) 선박선가 변화 추이

선박선가 변화 추이를 보면 2020년 8개 선종 평균선가는 8100만 달러 2021년 1억 100만 달러로 2021년 대비한 25% 상승하였다. 앞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높은 후판 가격을 반영한 선박계약분이 낮은 격으로 건조가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조선소의 영업이익 개선은 크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이 된다. 한국조선소의 경우는 선박 물량 증가로 국내 후판 이외에 해외 후판의 사용도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해외 후판 가격의 동향도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한국은 연초 후판 가격이 톤당 105만 원( 807달러)이며 5월 기준 중국은 톤당 613달러 일본은 톤당 1088달러이다. 중국의 후판 가격은 한국 후판 가격보다는 낮은 수준으로 지속 상승하고 있으나 조선소가 선박을 수주함에 있어 선가 경쟁력에서 후판 가격 및 투입 인건비 등을 고려하면 중국 조선소가 경쟁력이 있다. 최근에 삼성중공업이 선박 블록 물량 일부를 중국 조선소에 재하청을 한다는 소식이 있었다. 이것은 삼성중공업의 선박 건조 인력이 부족한 부분도 있지만 보다 수익을 높이기 위하여 단가가 낮은 중국에 재하청을 함으로 회사의 이익 개선을 도모하겠다는 의지인 것이다. 앞으로 후판 가격이 2022년 대비하여 하락 전환된다면 지금까지 수주하였던 선박의 건조에 따른 회사의 이익은 개선될 것이다.

후판가격 인하 반영한 신조선가 전망

앞으로 수주하는 선박의 선가는 하방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선박을 발주하는 선사들 입장에서는 지금까지는 원자재 가격 상승과 후판 가격 상승분을 반영한 선가를 지불하였다면 앞으로는 하락하는 후판 가격 반영한 새로운 선가를 요구할 것이기 때문이다. 후판 가격의 하락에 따른 선가는 선종별로 어떤 영향을 받을지 예상을 하여 보면 VLCC 컨테이너 운반선의 선가 대비 후판 가격 비중은 15% ~ 17% 수준으로 LNG 운반선 6% 대비하여 상당한 높게 형성되고 있음에 선박의 선가는 하락폭이 클 가능성이 있다. 후판 가격 협상 결과를 톤당 90만으로 산정하여 110만 원에서 90만으로 인한 18% 반영한 결과 새로운 선가 수준을 살펴보자. VLCC 는 2023년 5월 1억 2500만 달러 후판 가격 인하를 반영한 결과 예상선가는 1억 2200만 달러이다. 수에즈막스급 탱커는 2023년 5월 8450만 달러 후판 가격 인하를 반영한 결과 예상선가는 8200만 달러이다. 아프라막스급 탱커는 2023년 5월 6700만 달러 후판 가격 인하를 반영한 결과 예상선가는 8005만 달러이다. MR 탱커는 2023년 5월 4600만 달러 후판 가격 인하를 반영한 결과 예상선가는 8500만 달러입니다. LPG 운반선은 2023년 5월 1억 3000만 달러 후판 가격 인하를 반영한 결과 예상선가는 1억 1000만 달러이다. LNG 운반선은 2023년 5월 2억 5800만 달러 후판 가격 인하를 반영한 결과 예상선가는 2억 5500만 달러이다. 컨테이너 운반선 23000 TEU급은 2023년 5월 2억 2100만 달러 후판 가격 인하를 반영한 결과 예상선가는 2억 1400만 달러이다. 컨테이너 운반선 2750 TEU급은 2023년 5월 4250만 달러 후판 가격 인하를 반영한 결과 예상선가는 4100만 달러이다. 지금까지 후판 가격 변화가 선가 및 조선소의 영업이익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조선/조선기자재 관련주 주가 상승 출항

 

조선/조선기자재 관련주 주가 상승 출항

최근에 증시가 큰 조정을 겪고 있다. 그 와중에 주가가 하락하지 않고 선방하고 있는 종목으로 조선/조선기자재 관련주들을 들수 있다. 조선주들에 대해서 전망을 알아보자. 국내 3사 선박 수주

chd0803.tistory.com

반응형

댓글


TOP

Designed by 티스토리